카테고리 닫기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을 실시간으로 계산해보세요.

주휴수당이란? (관련법: 근로기준법 제55조[휴일])

1주일 15시간 이상 소정의 근로일 수를 개근한 근로자에게 휴일 수당을 제공하는 것을 주휴수당이라고 합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2가지 조건 모두 충족해야 함)

1.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

2. 일주일동안 소정의 근로일 출근(지각, 조퇴, 연차 사용 시에도 지급)

근무시간

  • 시간

시급

  • * 2025년도 최저임금은 10,030원입니다.

주휴수당 예상금액

💡 알아두면 좋은 주휴수당 팁

  • 주휴수당이란?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통상 15시간 이상)을 개근한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지급되는 하루치 임금입니다.
  • 주휴수당 지급 조건
    1주 15시간 이상 근무 & 결근 없이 개근해야 지급 대상이 됩니다.
  • 주휴수당 계산 공식
    1주 소정근로시간 ÷ 5(또는 6) × 1일 임금 = 주휴수당
    (통상적으로 1주 5일 근무면 1일치, 6일 근무면 1일치 지급)
  • 아르바이트생도 받을 수 있나요?
    네! 주 15시간 이상, 결근 없이 일했다면 아르바이트, 단기근로자도 받을 수 있습니다.
  • 주휴수당 미지급 시
    사업주가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주휴수당은 세전 금액
    주휴수당도 소득세, 4대보험 등 공제 대상이니 실제 수령액은 다를 수 있습니다.